티스토리 뷰

피검사에서 LDH 수치 검사 결과를 보면서 종양의 활성화정도를 보는 수치입니다. 정상범위는 100~225미만으로 알고 있습니다. 높은 수치는 몸에 무엇인가 문제가 있다는 종양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LD (Lactate Dehydrogenase) LDH LDH 동종효소
= 젖산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LD)

•검사의 목적
체내 조직 손상의 위치와 원인을 알아내고 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젖산탈수소효소(LD 혹은 LDH)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상승하는데, 상승정도는 조직손상의 범위를 반영합니다; 과거,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진단과 모티터링에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트로포닌이 그 역할을 상당 부분 대체하고 있습니다.

•검사가 필요한 경우
환자의 조직 또는 세포 손상이 의심되는 급·만성 질환 시나 손상부위의 확인과 모니터링이 필요할 때 다른 검사들과 더불어 실시됩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젖산탈수소효소(LD 혹은 LDH)는 체내 거의 모든 세포에 존재하는 효소이지만, 정상적으로는 적은 양만이 혈액에서 검출됩니다. 젖산탈수소효소는 세포가 손상되거나 파괴될 때, 혈액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이 검사는 세포 손상의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젖산탈수소효소의 상승은 총 젖산탈수소효소 혹은 젖산탈수소효소 동종효소를 특정함으로써 알 수 있습니다. 총 젖산탈수소효소는 서로 다른 5개의 동종 효소의 합입니다. 동종효소는 분자수준에서 극히 일부 다른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총 젖산탈수소효소치는 조직 손상을 반영하지만, 그 자체의 상승이 특정 위치나 상승 원인 규명에 사용될 수는 없다.

서로 중복되는 면이 있기는 하지만, 5개 각각의 젖산탈수소 동종효소는 특정 체조직에 농축되어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각각의 젖산탈수소 동종효소 측정은 다른 검사들과 더불어, 세포 손상의 원인과 위치 규명에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각 동종요소는 다음 장소에 분포합니다:

LDH-1, 심장, 적혈구, 신장, 생식세포
LDH-2, 심장, 적혈구, 신장(LDH-1보다 적은 양)
LDH-3, 폐, 기타 장기
LDH-4, 백혈구, 림프절, 근육, 간(LDH-5보다 적은 양)
LDH-5, 간, 골격근
일반적으로 전체 젖산탈수소효소 중 LDH-2의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합니다.

출처: https://labtestsonline.kr/tests/ldh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